인도네시아 결혼 풍습 및 준비
전 세계 어디나 각 나라에 맞는 결혼 풍습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한국처럼 시대가 변하고 경제상황도 고려한 각 집안끼리 약속을 통해 간소화하고 있죠.
하지만 간혹 예단,이바지 음식 그리고 가장 큰 집 문제로 많이 싸우기도 합니다.
둘의 사랑으로 결혼만 할수있었으면 좋겠지만 집안끼리의 결합이니 신경을 안 쓸 수가 없습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는 제가 정확하지는 않으나 태국의 신솟(여성의 집안에 주어야 하는 돈) 문화로 의견 차이를 보이는
몇몇 국제커플을 보긴했습니다.
인도네시아도 만만치 않습니다.
일단 무슬림이 대부분인 경우라 가부장적인 문화가 좀 남아있습니다. 보수적인 편이죠.
그래서인지 결혼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은 남자가 부담합니다.
기본적인 룰은 남자가 여자집안에 돈을 주면, 그 돈을 가지고 결혼 준비를 여자 집안에서 준비를 합니다.
부족하면 여자쪽에서 더 보태서 합니다.
금액이 상당한 편으로 처음에 여기 소득 수준 생각하고 얼마 안 하겠지 하다가 금액에 크게 놀랐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결혼식이 굉장히 중요한 문화이라 엄청나게 화려하게 진행한다고 합니다.
사실 와이프와 결혼전에 일단 제가 인도네시아로 넘어가 취업준비를 해야 해서 초반에 돈을 좀 아끼는 취지에서
혼인신고만 마무리하려고 했습니다.
와이프는 한국여자와는 다른 면이 있어 웬만하면 다 따라주는 편입니다.
하지만 상견례 며칠전 장인의 불의의 사고로 인해 세상을 떠나셔서 장례식부터 치르게 되었죠. 와이프와 가족들의 상심이 너무 큰 상태였고, 매달 소득의 일부를 주변에 어려운 이웃을 도와주시곤 했던 아버지를 기억하고 슬퍼하는 이웃들이 많았습니다.
아버님께서 돌아가시기 직전에 결혼식을 못 봐서 너무 슬프다는 말을 남기고 가신 터라,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래도 결혼식을 진행해서 하루만이라도 남은 가족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거였습니다
덕분에 인도네시아의 결혼준비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네요 :D
1. 결혼 비용과 예약
결혼비용은 천차만별 입니다.
예식장 대절하는 비용과 음식의 총 포션 , 화환 그리고 음악밴드 등 추가 항목이 있을수록 금액은 올라갑니다.
예식장은 보통 모스크를 빌리거나 지역 회관 혹은 한국처럼 전문 예식장을 예약합니다.
금액을 줄이기 위해 집에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이 집에서 하는 편이며 소득 수준에 따라 예식장의 규모는 천차만별입니다.
한국과는 다르게 처음부터 대략 몇 명이 참석할지를 계산 후에 총 음식 값을 지불합니다.
결혼을 해보신 분은 알겠지만 보통 한국의 경우 축의금이라는 개념이 있고 식권을 발행한 만큼의 음식값을 지불합니다.
따라서 보통 여기서 돈이 남습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축의금 개념이 있긴 하지만 굉장히 소액이며 안내도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통 인원수 정도보다 살짝 많은 음식을 준비하는데, 남는 음식이 발생하며 사실 음식의 금액을 정확히 산출하기 어려워 투명하지 않습니다.
시작은 한화로 대략 500만 원 미만부터 시작되며 그 한도는 끝이 없습니다.
필자의 경우 한국에서 부모님만 오신 관계로 음식을 500인분만 준비하여 금액이 줄었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1500만원 정도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현지 월급이 평균 40만원 대인 걸 감안하면 굉장히 큰 금액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금액만큼 돈을 쓰면 세기의 결혼식을 올릴 수 있을 정도로 굉장히 화려한 편입니다.
저 금액 안에는 음식과 대관비, 신부 드레스 2벌, 신랑 드레스 2벌, 양가 부모님 드레스 포함이며 음악밴드와 화환까지 포함이 됩니다. 참고로 화환과 꽃장식은 전부 생화를 사용합니다.
한국인의 입장에서도 상당한 금액이지만 한국에서는 신랑 측이 의례 집 전세 정도는 해가야 하는 상황에 비하면 인도네시아는 저 결혼식 비용만 해결하면 집이나 다른 부분은 크게 필요 없습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신혼들은 부모님 집에 얹혀 산다고 합니다. 한국인 입장에서는 굉장히 불편한 부분이지만 여기선 처가살이 혹은 시집살이가 전혀 이상한 부분이 아닌 게 이곳의 현실입니다.
하지만 최근 젊은 세대들은 부모님과의 독립을 추구한다고 합니다. 앞으로 많이 바뀌게 되겠죠?
2. 결혼 전 준비물
순금이 필요합니다.
큰 금괴는 아니더라도 금 거래소에 가보면 작은 단위로 금을 팔고 있고 이 부분은 경제 상황에 맞추어 진행하면 됩니다.
어차피 금은 나중에 되팔아도 되기에 시세를 보고 결정하면 됩니다.
이 순금은 나중에 결혼의 증거로 결혼 증명서에 기록이 됩니다.
그리고 현금... 이 현금 또한 결혼 증명에 쓰이는데 이 돈을 돈봉투로 전달하는 게 아니라 액자를 만들어서 전달합니다.
실제로 보면 엄청나게 화려합니다. 이 부분은 신랑 신부의 취향에 따라 갈리게 됩니다.
필자는 그냥 액자에 정렬해서 넣어서 내 손으로 꾸몄습니다. 이런 것에 돈쓰기가 꺼려지는 게 사실..
여유가 있다면 화려한 장식을 만들어 액자를 만든 뒤 집에 전시해놔도 괜찮을 듯합니다.
그리고 신부 혹은 신랑 선물 은 큰 투명박스 안에 넣어서 결혼식장에 전시를 해둡니다.
결혼을 위하여 신랑 쪽이 어떤 선물을 해주었는지 보여주는 눈요깃거리입니다.
주로 핸드백이나 구두 화장품 등등 브랜드 제품들이 주를 이룹니다.
이 상자는 실제 결혼식 때 신랑 측에서 가족들이 하나씩 드라고 입장하여 신부 측에 전달하는 식전 퍼포먼스가 있습니다.
신부를 위한 새로운 AL QURAN(이슬람 성경책)과 Mukena(기도할떄 여성이 입는 옷) 그리고 Sajadah(기도용 작은 깔개)를 기본으로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결혼반지는 한국처럼 다이아 반지를 하지 않습니다. 금으로 된 링 반지가 이곳의 결혼반지입니다.
흔히 한국의 커플링 수준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링위에 다이아를 컷팅하여 올린 디자인은 결혼반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건 아마 무슬림 기준에서 일듯 하네요. 기독교나 천주교의 결혼에선 다이아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참고로 결혼반지는 오른손 약지에 착용합니다.
보통은 왼손이라고 생각 하지만 여기선 오른손이 중요한 의미여서 오른손 약지에 반지는 유부녀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결혼 준비용품은 이러한 것들을 파는 전문으로 하는 쇼핑몰이 있습니다.
이곳에 가면 다양한 물건을 볼 수 있으며 반지부터 거의 모든 준비물을 이곳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비용을 아끼고 싶으시다면 이곳에서 준비물을 사서 직접 손으로 만드는 수밖에 없고 한편으로는 좋은 추억이 되기도 합니다.
3. 본식 전에 결혼 증명서를 발급
AKAD이라는 예식행사인데 실제 종교청 공무원이 참석합니다.
이 결혼을 증명하기 위한 증인과 무슬림식 기도문을 외우고 혼인을 위해 현금과 순금을 얼마나 준비 해왔는지, 반지는 준비했는지 기록되며 여기서 무슬림식 예식이 끝나면 해당 공무원, 신랑과 신부, 양가 아버지 혹은 보호자 이렇게 총 5인의 서명(모두 무슬림 이어야 함) 이 필요하며 예식이 끝나면 Buku Nikah(결혼증명서)가 발급됩니다.
남녀가 하나씩 소지하여야 하고 이것은 결혼 증명에 쓰이며 분실 시 재발급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따라서 집에 잘 보관해야 합니다.
보통은 원본은 집에 금고 같은 곳에 보관하고 복사본을 한 장 소지하며 스마트폰에 pdf파일로 보관하여 다니기도 합니다.
(한국은 민원 24에서 클릭 몇 번이면 발급되지만 여긴 아니다. ㅜㅜ)
사실상 이 예식이 가장 중요하며 실제 결혼이 증명이 되는 것이고 남은 본식은 말 그대로 가족끼리의 축제입니다.
돈을 세이브하고 싶거나 한국에서 식을 올려야 한다면 국제커플은 이 예식만 해도 됩니다.
하지만 한국처럼 혼인신고만으로는 안됩니다. 이 종교성 공무원의 싸인이 있는 부쿠니카가 없으면 혼인신고가 안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본식은 양가의 부모님과 신랑 신부는 단상에 왕처럼 앉아있다가 방문객과 모두 악수를 한다거나 포옹을 합니다.
방문객은 줄을 서서 한 명씩 단상에 올라와서 축하를 해준후 내려가는데요, 이과정이 상당히 길고 시간을 많이 소비합니다. 인사를 나눈 하객들은 각자가 음식을 먹거나 즐기다 갑니다.
이러한 본식은 4시간가량 진행됩니다.
참고로 한국 결혼식은 누가 왔는지도 모를 정도로 후다닥 끝나는 편이지만 여긴 방문객 하나하나 전부 악수하고 축하해주어 어떤 의미로는 한국보다 진짜 결혼식 다운 느낌을 주는 행사이기도 합니다.
이 다음은 국제커플을 위한 서류준비를 알아보겠습니다.
'인도네시아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국제결혼 서류준비(인도네시아에서 혼인신고) (17) | 2020.06.15 |
---|---|
인도네시아인과 결혼 그리고 국제 결혼에 대한 생각(국제커플) (0) | 2020.05.22 |